02_마케터 포트폴리오의 정의
1. 왜 포트폴리오가 중요한가?
1) 적극적으로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는 인상을 심어준다
- 이력이 아무리 훌륭해도 포트폴리오가 없다면 채용하지 않는 편
-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는 이력이 있어도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어떻게 참여했는지 회사 입장에서 궁금할 수 있음
2) 여러 상황에서 지원자의 인사이트를 보여줄 수 있다
- 경력자의 경우 여러 프로젝트에서 지원자가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는지를 알 수 있음
- 어떤 프로젝트에서 어떤 액션을 했고 어떤 결과물을 냈구나를 알 수 있음
3) 성실한 지원자임을 어필한다
- 면접은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대화를 통해 알기 위함
- 포트폴리오를 만든다는 것은 굉장히 힘이 들고 귀찮은 일. 하지만 하나를 만들어 놓으면 많은 회사와 소통을 할 수 있다
- 마케터의 역량, 회사가 선호하는 사람의 기준에 맞추어 정리해보는 작업이 필요함
4) 지원자의 개성을 나타낸다
- 포트폴리오의 디자인, 에세이, 스타일에 개성이 드러남
2. 포트폴리오에 꼭 필요한 요소
1) 진행했던 프로젝트에 대한 개괄적 배경설명
- '나 이거 했다' 식의 나열로는 좋은 인상을 주기 어려움
- 이 프로젝트를 왜 진행했으며, 어떤 결과가 났고, 어떤 후속 액션이 있었는지를 요약해서 보여주는 것이 좋음
- 우리 회사의 프로젝트와 유사한가 아닌가를 판단함
2) 프로젝트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 설명
- 실시 이전엔 어떤 상태였는데 실시 이후는 어떻게 개선이 되었는지, 개선이 되지 못했다 하더라도 아쉬웠던 점을 언급하는 것이 좋음
- 이후 회사의 방향성이 이렇게 바뀌었고, 콘텐츠의 형태가 이렇게 바뀌었다 라는 내용
3) 프로젝트에서 본인이 맡은 역할과 기여도
- 프로젝트를 팀원과 같이 하는 경우 본인의 역할이 작다 하더라도 본인이 맡은 역할을 첨부해주어야 함
- 기여도를 언급하지 않으면 본인이 어떤 역할을 맡았고 다른 팀원과 어떻게 소통했는지 알 수 없음
4) 지원 직무와 프로젝트간의 연계성
- 연계성이 높을수록 포트폴리오 상위에 배치(시간순 X)
- '내가 지원하는 이 직무가 내가 했던 업무와 일치하기 때문에 나는 여기에 들어가야 하는 사람이다'임을 어필
5) 깔끔한 디자인
- 디자이너가 아닌 이상 디자인적으로 훌륭할 필요는 없지만 판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침
- 그리드, 정돈된 폰트, 템플릿 사용하기
6) 한눈에 볼 수 있는 장표 형식 선호 -> 많은 링크를 타고 들어가야 확인할 수 있는 방식 X
- 웹사이트, 노션 등 여러 형식이 있지만 PPT와 같은 장표 형식이 best
- 링크를 많이 두면 포트폴리오를 빨리 보고 빨리 결정해야 하는데 귀찮게 만드는 셈, 선호도 낮음
03_마케터를 위한 포트폴리오 만들기
1. 진행했던 프로젝트에 대한 개괄적 배경 설명
- 줄글 외에 도형이나 스케줄표를 첨부하여 표현할 수도 있음
- 개괄적으로 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는지 간단하게나마 적어주는 것이 좋음
2. 프로젝트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 변화 설명
- 문의량 몇 % 상승했는지, 유입량 몇 % 늘었는지 등 숫자로 설명해주기
3. 프로젝트에서 본인이 맡은 역할과 기여도
- 프로젝트 캡처해서 한 줄 집어넣으면 굉장히 성의가 없어보임
- 최대한 숫자를 사용해서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4. 지원 직무와 프로젝트 간의 연계성
- 채용 공고 분석이 필수
- 사용해 본 마케팅 툴과 왜 사용해야하는지를 알고 있음을 기입
- GA를 사용한다고 하면 GA 사용 경험을 반드시 첨부해야 함
- 꾸준하고 지속적인 컨텐츠 생성 경험(일주일에 몇 개, 기획은 어떻게)이 중요
- 꾸준히 관리한 개인 블로그를 어필하는 것도 좋음
- SNS 채널 기입하라고 하면 반드시 들어가서 확인을 해보기 때문에 기업이 안 좋아할 만한 내용은 관리하는 것이 좋음
- 마케터로 지원을 한다면 평소에 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있는지를 일상처럼 꾸준히 올리는 것이 도움이 됨
- 취업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전략적으로 사용해보기!
04_나는 회사가 원하는 마케터일까
1. 콘텐츠 마케팅(Contents Marketing)
1) 대중의 공감을 통해 제품(서비스)를 확산시키는 마케팅
- 특정 고객에게 가치 있고 일관 되면서 연관성 높은 콘텐츠를 기획, 제작해 지속적으로 확산시키는 마케팅 기법
- 재미+감동+정보+제품(or서비스)홍보를 콘텐츠 안에 동시 다발적으로 녹여내야 하는 업무
- 다른 마케터 직무 및 타부서와의 협업을 자주 하는 영역
2) 콘텐츠 마케터에게 필요한 역량
- 민첩하게 트렌드를 읽는 센스와 공감력
- 제품(or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 대한 정확한 이해도
- 고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공감하지 못하면 고객에게 나가는 콘텐츠를 제대로 관리할 수 없음
- 어떻게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고민
- 미디어 매체 및 각 채널별 특장점 이해도
- 단기적으로 빠르게 콘텐츠를 기획, 제작하면서
- 콘텐츠는 굉장히 빠르게 소비되는 형태, 수명이 매우 짧음
- 중장기적으로 미디어 채널 관리를 할 수 있는 안목
2. 퍼포먼스 마케팅(Performance Marketing)
1) 투자 대비 수익률(ROI)을 극대화 하는 마케팅 기법
- 온라인에서 다양한 경로로 노출한 광고를 통해 유입된 고객들이 매출로 전환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개선하는 마케팅 과정
- 고객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이 핵심
- 가설 수립 -> 검증 -> 대안 도출 과정을 끊임없이 거치면서 성과를 극대화 하는 마케팅
2) 퍼포먼스 마케터에게 필요한 역량
- 정확한 데이터 분석력과 꼼꼼함
- 미디어 매체 및 각 채널별 특장점 이해도
- 광고 매체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 고객 행동 패턴 트래킹 및 분석력
- 고객들의 행동 구간구간마다 기록이 되어 있음, 이 수치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능력
- 효율적인 예산 운용 능력
- 숫자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 수립 능력(숫자를 두려워하지 말자!)
- 숫자를 보고 다음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
05_직무 기술서 확인하기
직무기술서 (JD, Job Description) 확인하기
- 지원자격: 최소 기준에 반드시 부합해야 함, 사실은 우대사항이 회사가 진짜 원하는 요소
- 우대사항 중 몇 가지가 해당이 되는지? 해당되는 게 많을수록 서류 합격률 올라감
-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 포트폴리오 반드시 첨부
- 모바일 어트리뷰션 툴 3가지 중 1개라도 사용해보았다면 포트폴리오에 첨부
- 실무경험이 많을수록 선호도 높음
- 포토샵,일러스트레이터처럼 이미지 제작툴
- 콘텐츠도 스스로 만들고, 광고도 스스로 집행하고, 분석도 스스로 할 수 있는 올라운더 마케터를 원하는 직무
- 이커머스 마케팅 -> 제품 판매 경험이 있다!
- 네이버, 구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별로 쪼개서 분석을 해봤고 어디에 비용을 더 쓰겠다는 판단을 해본 경험이 있는지?
- 데이터 드리븐 사고: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 판단해서 결과를 냄
- proven record: 포트폴리오!
- 채널톡 사용 경험 - 앱푸시 마케팅, CRM
- 성장욕구가 있는가?
- 데이터 중시, 성과중심 기업, 빠른 성장을 중요시함
- 컨텐츠 기획과 동시에 광고 집행까지 - 광고 집행 경험을 포트폴리오에 첨부하기
- 프로젝트가 없는 신입 - 개인적인 경험
- 개인 SNS 관리, 스마트스토어 판매, 학교의 프로젝트, 교육기관에서 실습 등
- 포트폴리오는 가고싶은 직무에 맞는,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을 뾰족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만들기
* 이 글은 제로베이스 강의 자료를 발췌해 작성되었습니다.
'zero-base > 스터디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터디 노트 28_콘텐츠 기획 & 온드 미디어 운영 (2) 트리플 미디어 (0) | 2023.05.16 |
---|---|
스터디 노트 27_콘텐츠 기획 & 온드 미디어 운영 (1) 디지털 콘텐츠 & 유통채널 (1) | 2023.05.16 |
스터디 노트 25_마케팅 포트폴리오 (1) 디지털 마케터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것 (2) | 2023.05.03 |
스터디 노트 24_카드뉴스 (3) 제목 쓰기, 디자인하기 (0) | 2023.05.03 |
스터디 노트 23_카드뉴스 (2) 내용 쓰기 (2)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