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ro-base/스터디 노트

스터디 노트 21_상세 페이지 (3) 프로모션 페이지 구성 방법

정워니블로그 2023. 4. 25. 15:59

 

03_프로모션 페이지 구성 방법

1. 프로모션 페이지 이해하기

 

프로모션 페이지: 특정 컨셉에 맞게 상품을 리스팅하여 다양한 상품의 판매를 유도하는 페이지

- 기획전 페이지, 이벤트 페이지 등 다양하게 지칭

- 상품이 없을 수도, 여러 상품일 수도 있음

- 실제로 마케터로 일할 때 다양한 프로모션 페이지를 많이 기획함

 

 

2. 프로모션 진행 프로세스

** 이런 것만 봐도 왜 설렐까.. 너무 재밌을 것 같아.. 이런 프로모션... 얼른 회사 들어가서 진행해보고 싶다.

 

- 프로모션 기획: 어떤 프로모션을 진행할지, 목적과 목표, 컨셉 등을 설정하는 단계

- Kick-off 미팅: 해당 프로모션을 함께 작업해야 할 유관부서와 처음으로 갖는 미팅, 각 부서와 논의하여 픽스하는 작업

  - 프로모션의 내용, 일정, 각 팀이 담당하는 업무 부분, 소요되는 시간 및 일정에 대해 논의되어야 함

- 각 팀 업무: 킥오프 미팅을 통해 프로모션 내용이 정해지고 추가 미팅을 통해 프로모션 내용 확정되면 담당 프로모션 업무 시작

- 촬영&디자인: 추가 촬영이 필요하다면 촬영 이후 디자인 작업 시작.

  - 모델 촬영이 가장 시간적, 예산적인 비용이 많이 듦(촬영 컨셉, 촬영 구도, 스케줄 조율 등)

- 기획전 오픈: 촬영과 디자인 완료되면 프로모션 오픈

- 마케팅: 프로모션을 외부로 노출

  - 처음 프로모션을 기획할 때 외부 마케팅에서 다양한 타겟들에게 전달할 강력한 USP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

  ex) 24시간 택배, 강력한 쿠폰 혜택, 래플과 같은 강력한 이벤트

  - USP는 처음 프로모션 기획 때부터 녹아져있어야 마케팅시 외부 타겟 고객들이 해당 프로모션 페이지로 방문할 수 있을 것임

 

* 프로모션 진행 주의사항

1) 일정 관리: 많은 부서와 연계된 작업이기 때문에 철저한 일정 관리 필수

강사님이 실제로 실무에서 사용하는 스케줄러

- 각 팀이 어떤 업무를 담당하고 있고, 각 업무의 담당자가 누구인지 적어두어야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2) 채널 일원화

- 유관부서와 원활한 소통을 위한 소통 방식 일원화

- 유관자들이 모두 볼 수 있는 채팅방 필요 -> 업무 효율성 ↑

- 중요한 공지, 여러 내용을 기록해야 할 때는 메일로 정확하게 커뮤니케이션하기

 

3) 레퍼런스: 개발 사항, 촬영, 디자인 모두 상세한 레퍼런스와 함께 미팅

"사람들이 생각하는 예쁘게는 모두 다르다!"

- 기획자가 처음 기획했을 때 생각한 결과물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 프로모션 기획자는 기획한 내용이 유관자들에게 잘 전달되도록 모든 것을 레퍼런스로 대화하는 습관을 가져야 함

 

 

3. 프로모션 기획 시 필수요소

 

1) 프로모션 목표 설정하기

- 해당 프로모션 진행으로 얻게 될 business impact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목표를 세움

- 구매 전환(매출 상승), 브랜드 인지 확대, 앱 설치, 첫 구매 유도

 

-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필수

  ex) [목표 수치 산출 예시] 전년대비, 전월대비 N% 성장 / 당월 매출의 N%를 프로모션을 통해 달성

  - 목표 수치 산정 왜 중요한가? 해당 목표 수치에 맞춘 비용을 설정하여 프로모션을 준비하는 프로세스

 

- 수치를 기반으로 협업 부서와의 자원 활용 결정

  - 관련 부서&인적 자원 활용 여부 결정

  - 사진 또는 영상 촬영 등 콘텐츠 제작 비용

  ex) 목표 매출이 100만원인 프로모션에 100만원을 투자하여 모델 촬영 -> 실패(처음부터 진행하지 말아야 함)

  ex) 목표 매출이 10억인 프로모션에 100만원을 투자하여 촬영하고 목표 수치 달성 -> 성공

  - 개발, 마케팅 예산 비용

  ex) 목표 매출이 100만원인 프로모션에 디자인 5일, 개발 10일 -> 목표 매출 대비 인적 자원 과다 -> 비효율

  ex) 목표 매출이 100억인 프로모션에 디자인 5일, 개발 10일 -> 목표 매출 달성 시 굉장히 성공한 프로모션!

 

2) 프로모션 주제와 컨셉

- 주제는 선물 그 자체, 컨셉은 선물의 포장지와 같은 개념

- 컨셉 설정의 중요성: 똑같은 선물을 할 때도 예쁜 포장지에 선물하는 것과 검정 비닐봉지에 넣어 설명하는 것은 매우 다름

  ex) 주제: 주말 매출을 높이기 위한 주말 프로모션 / 컨셉: 특가 -> 주제와 컨셉이 잘 어우러진 프로모션

  ex) 주제: 겨울 시즌 패딩 판매를 유도하자 / 컨셉: 패딩을 데일리룩의 다양한 스타일로 제안하자 -> 패딩을 더 가치 있게, 구매 자극

  ex) 주제: 신규 고객의 첫 구매 유도 프로모션 / 컨셉: 신규 가입자만 인기상품 100원에 구매

 

- 여름 시즌 샌들 판매 증대 목표는 같아도, 다양한 컨셉으로 프로모션 진행할 수 있음

- 스타일쉐어: 샌들 스타일쇼라는 타이틀로 100원에 인기 샌들을 살 수 있는 100원딜 진행

- W컨셉: 유저들의 후기를 활용한 프로모션

- 29CM: 인플루언서를 섭외하여 인플루언서가 선택한 샌들 소개

 

- 시즌 이슈를 참고하여 전략적으로 잘 보여줄 수 있는 상품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프로모션 진행

 

3) 프로모션 기간

- 시즌 이슈를 반영하여 프로모션 기간 설정

  ex) 설날 프로모션 일정 & 요일 설정(세뱃돈, 소비 성향 강해짐)

- 한달 이상 진행하지 않는 것을 추천(지루함을 느낌)

- 특가의 경우 주말 포함 3~4일 정도, 보통 프로모션의 경우 10~14일 정도 운영

- 매출이나 DAU가 높은 요일을 파악하여 중요한 프로모션 노출

 

4) 셀링 포인트

: 프로모션에서 가장 중요하게 business impact를 발생시킬 수 있는 포인트

- 킥오프 미팅에서 유관부서와 함께 설정하고 합의된 내용으로 진행되어야 함

- 특가 프로모션: 반값특가나 최저가 보장, 70% 할인과 같은 섹션을 만들어 상품을 노출

- 첫 구매 유도: 첫 구매 고객들에게 50% 쿠폰 발급, 쇼핑지원금 제공

- 그외 최대 할인율 강조, 참가한 브랜드 수 강조, BEST & 신상품 &단독상품 강조

 

5) 메인 상품 또는 카테고리

- 해당 프로모션에서 메인으로 판매할 상품이나 카테고리를 정함

- 메인 상품과 카테고리는 프로모션 주제나 컨셉에 영향을 줌

- 많이 팔리는 카테고리를 프로모션을 통해 고객들에게 노출하면 더 많은 매출을 올릴 수 있음

 

 

4. 프로모션 페이지 구성요소

 

* 프로모션 페이지 종류

  - 앵커 탭: 리스트 형식에서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한 상단 카테고리 고정 장치

- 각 프로모션의 성격, 브랜드 고객의 성향, 각 기업이나 브랜드가 가진 목표 달성에 도움되는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

 

* 프로모션 페이지 구성요소

1) 쿠폰

-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구매 유도 장치

- 외부 마케팅 시 후킹 요소

- 할인 금액 or 할인율, 최소 주문금액, 1유저당 사용 가능 횟수, 최대 할인액 등 설정 필요

- 쿠폰 예상 사용량, 쿠폰을 통한 매출, 쿠폰 비용 예상 수치 필요

 

- 정률쿠폰: 10%, 15%와 같이 특정 할인율을 적용한 쿠폰

- 정액쿠폰: 3천원, 1만원 할인과 같이 특정 금액의 할인이 적용된 쿠폰

- 쿠폰북&쿠폰팩: 2개 이상의 쿠폰을 제공할 때 자주 사용하는 개념

 

2) 이벤트

: 프로모션이 내/외부적으로 바이럴될 수 있도록 함께 진행

- 특가 이벤트: 매출 부스팅에 영향  ex) 하루 특가, 위클리 특가, 반값 특가, 주말 특가, 1+1 등

- 구매 인증 이벤트, 좋아요&팔로워 이벤트, 페이백 이벤트, 후기 이벤트, 사은품&마일리지 이벤트

- 외부채널(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이벤트, 댓글 이벤트, 래플 이벤트(매우 저렴한 가격에 인기 상품을 구매할 수 있음)

 

3) 상품

: 해당 프로모션을 통해 판매 증진해야 할 상품들을 전략적으로 노출

- 베스트상품, 신상품, 단독상품, 할인상품, 후기가 좋은 상품, MD 추천 상품 등

 

4) 후기

: 기존 고객들의 후기를 보여주는 세션

- 소비자들과 같은 위치의 솔직한 소비자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신뢰를 얻을 수 있고 매출과 직결되는 중요한 세션

 

5) 인기 브랜드

- 여러 브랜드 노출이 필요한 경우 해당 프로모션과 성격이 잘 맞는 브랜드들을 노출하는 섹션도 구성 가능

- 프로모션 기간동안 해당 브랜드와 특가 협의하여 노출 필요

- 고객들에게 인지도는 낮지만 노출할 경우 매출이 오를 수 있을만한 브랜드, 또는 이미 고객들에게 인기 있는 브랜드들을 전략적으로 노출

 

메인 섹션과 서브 섹션

- 모든 섹션을 잘 보이는 것은 불가능

- 메인과 서브를 나누고 메인 영역은 비교적 영역을 좀더 크고 잘 보이도록 디자인, 상단에 위치시킴

 

 

5. 프로모션 레퍼런스 탐색 방법

 

1) 경쟁사 모니터링

 - 마케터라면 경쟁사 모니터링은 필수 요소.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좋음

 - 경쟁사들이 어떤 목적으로, 기간, 어떤 컨셉, 셀링 포인트, 메인 상품과 카테고리는 무엇인지 심도 있게 파악

 - 디자인 톤앤매너, 레퍼런스도 참고하기

 

2) 핀터레스트

- 프로모션, 이벤트 검색

- 디자인 트렌드 확인, 프로모션 기획 페이지를 보며 흐름 참고하기

 

3) 유튜브

- 요즘은 궁금한 것이 있을 때 유튜브로 많이 검색을 하는 편

- 프로모션 주제로 콘텐츠를 찾아보며 요즘 사람들은 어떤 것을 궁금해하고, 콘텐츠성을 느끼는지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탐색

 

4) 인스타그램

- 우리의 고객일 확률이 높은 유저들이 많은 채널이므로 트렌드 파악하기 좋음

 

5) 구글

- 최대의 검색 엔진 다운 다양한 프로모션 확인 가능

 

 

6. 프로모션 페이지 레퍼런스

 

1) 상품 노출형: 매출 상승을 목표로 프로모션 주제에 맞는 상품 노출을 가장 우선순위로 두고 진행하는 프로모션 페이지

- 상품을 노출하면 그만큼 고객은 상품에 대해 인지하고, 마음에 들 경우 클릭하고 바로 구매로 연결할 수 있는 가장 최적화된 구조

 

2) 콘텐츠형: 프로모션 주제에 관심 있는 유저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콘텐츠를 함께 제공하여 목표한 business impact를 달성함

 

3) 이벤트형: 프로모션 목표 달성을 위해 진행하는 이벤트를 상세 설명하는 페이지

사전 프로모션

- 이벤트의 기간, 참여 방법, 참여 혜택 등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다뤄주는 유형

 

 

7. 페이지 효율 측정 방법

 

1) 핫자르 히트맵: 시각적 데이터 분석툴

-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일정한 이미지 위에 열분포 형태로 비주얼한 그래픽으로 출력

- https://insights.hotjar.com 

 

Hotjar

See how users are really using your website, collect feedback and turn more users into customers.

insights.hotjar.com

 

2) 카탈로그 방문: GA나 내부툴을 활용하여 카달로그 방문수치 확인 필요

- 프로모션 페이지에 얼마나 방문했는지 확인

- 프로모션 페이지 방문이 낮았지만 목표 매출을 달성한 것과 프로모션 페이지의 방문이 높았지만 목표 매출을 맞추지 못한 것의 차이

 

 

 


 

마케팅은 심리학과도 관련성이 큰 분야인 것 같다. 사람들이 우리 제품의 어느 점을 좋아하고, 프로모션의 어떤 부분에서 반응을 하는지를 분석해서 사람들이 좀더 우리의 브랜드, 제품 혹은 서비스에 관심을 갖도록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법을 연구하는 거니까...

 

분석 툴에 대해서는 아직 배우지 않았지만 사람들이 어떨 때 반응을 하는지 분석하고, 그 분석을 바탕으로 개선점을 도출해서 더 많은 사람들을 끌어오도록 고민하는 과정 자체가 너무 흥미롭게 느껴진다! 계속 공부하고 고민해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할 능력을 갖춘 유능한 마케터로 성장하고 싶다.

 

 

 

 

 

 

 

 

 

 

* 이 글은 제로베이스 강의 자료를 발췌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