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_뉴스레터는 지금
캐치 프레이즈: '우리가 시간이 없지, 세상이 안 궁금하냐!'
1. 뉴스레터, 반란의 시작
- 과거: 모두 아웃링크, 프로모션이 주목적 -> 이메일 자체로서의 매력도는 떨어졌음
- 2010년 후반대부터 이메일로 들어오는 매체가 '신선하게' 느껴짐, 기업과 독자간의 연대감
- 불특정 다수에서 특정 주제에 관심이 있는 독자로
2. 뉴스레터 사례 분석
- 모닝 브루: gif 사용, 각 단신의 하단에 소셜 링크 공유 버튼이 있음, 게임 등의 재미 요소
- the Skimm: 관련 기사 넛지, 콘텐츠 아웃링크 등
- 뉴닉: 고슴이 캐릭터로 시작, 고슴이가 전하는 한마디, 소제목/대제목, 영상과 함께 따뜻한 톤앤매너, 설문CTA, 다른 유료 콘텐츠 유도, 뉴스레터 제작한 사람들(뉴닉의 시그니처, 독자와의 연대감)
- 캐릿: 트렌드 퀴즈로 시작(정답을 하단에 배치하여 완독률을 높임), 내용을 일부만 공개하여 유료 콘텐츠로 유입 유도, 참여형 콘텐츠(오픈률에 긍정적 영향), MZ 용어 사전
* 뉴스레터의 목적
- 발행 목적에 따라: 정보 전달이 목적이라면 쉽고 재미있게, 유료 콘텐츠 유도를 위해서라면 일부만 공개하고 시그니처 캐릭터를 내세움
- 내가 어떤 목적으로 뉴스레터를 발행하는지를 고민하고 그에 따라 분석해보면 도움이 될 것
- 콘텐츠의 결에 따라: (까탈로그) 키치한 느낌, 반말, 재밌고 유쾌한 사진 / (커피팟) 신뢰감 있는 비주얼, 실질적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3. 뉴스레터 플랫폼의 등장
- 뉴스레터 단체 발송 플랫폼: 스티비, 메일침프, 메일리 ...
- 뉴스레터 구독 플랫폼: 헤이버니, Presso, Stoop ...
- 뉴스레터 미디어 플랫폼: Substack, Write.as, Letterdrop ...
02_결국, 기획과 글쓰기
1. 뉴스레터란 무엇인가: 매체 이해하기
- 개인화된 특징: 고객의 이름을 부르는 경우, 오래 열지 않을 때 '무슨 일 있니?'라고 설문조사를 요청할 수 있음
2. 레터, 결국은 글쓰기
* 뉴스레터 기획에 꼭 필요한 질문 4가지
1. 누구에게 전하고 싶나요? 구체적 문제 설정, 독자 페르소나 설정하기 (FGI, FGD, 설문 등)
2. 무슨 말을 하고 싶어요? 하고 싶은 말이 뭐예요? 키메시지 잡기
3. 그 말을 어떻게 하고 싶어요? 체크리스트 + DOs & DONT'Ts 시트 + 무드보드 만들기
4. 무엇을 기준으로 잘했다고 판단하나요? 콘텐츠 목적을 토대로 핵심성과지표 잡기, 회고하기
3. 뉴스레터에 필요한 글쓰기 방법론
- 다른 곳도 아닌, 독자의 메일함에서 읽히고 있음을 항상 기억하기
ex) 오늘 당장 시작하는 책 쓰기 X / 오늘부터 내 책 쓰기 어때요? O
ex) 설문 응답 시 선물을 드려요! X / 3초 만에 설문 답하고, 커피 받으러 가기 O
그날 그날 상황에 따라 멘트를 다르게 하는 것도 좋음
- 불필요하게 명사화 하지 않기
ex) 목표 달성을 위해 소통 그리고 협업이 있어야 한다 X / 목표 달성을 위해 소통하고 협업해야 한다. O
- 문장을 감아쓰지 않기(영어처럼 되감는 구조 X)
- 걸릴 수 있는 작은 돌멩이 치우기 (문장부호, 표기법 등)
- 바로 읽히는 뉴스레터 제목 쓰기
- 질문으로 불러내기 ex) 파타고니아 회장은 왜 그런 결정을 내렸을까?
- 단어보다 숫자 ex) 1초 눈썹 메이크업, 조회수 2배 높아지는 5분 글쓰기 가이드
- 독자를 콕 집어 호출하기 ex) 벌써 노안인가 싶은 30대 보세요, 올해 연말에 퇴직하는 사람들을 위한 마케팅 수업
- 안 보고 못 배기는 세트 표현 ex) 당신이 피해야 할 6가지, 당신이 ㅇㅇ하지 않으려면 피해야 할 3가지
- 집중 키워드에 집중, 뇌를 헷갈리게 하지 말 것
- 집중 키워드는 앞에, 가격과 기간은 뒤에
- 부정적인 단어드를 키워드로 쓰지 않기
ex) 비린내가 나지 않는 구룡포 맑은 해풍에 말린 명품 과매기 X
- 뉴스레터도 카피라이팅
4. 뉴스레터 데이터 살펴보기
- 구독자 수, 오픈율, 클릭률, 완독률, 수신거부율, 구독자 데모그래픽(수험생 시험기간, 직장인 주말 등), 발송성공률(이메일 잘못 입력, 수신자 차단, 중복 입력 등), 발송 실패(하드바운스, 소프트바운스)
-> 발송 실패 요인을 잘 분석해야 클릭률, 완독률 등의 데이터가 더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03_뉴스레터 발행 실무 Step by Step A to Z
1. 뉴스레터 발행툴, 스티비
- 스타터 무료: 구독자 500명 / 월 2회 발송, 드래그앤드롭 에디터, 반응형 템플릿, 통계 대시보드, A/B테스트, 구독 폼
2. 뉴스레터 Step by Step
1) 스티비 가입하기
2) 이메일 발행 작성하기
3) 공유정보 작성하기
4) 테스트 발송하기
5) 예약하기
6) 발송하기
7) 템플릿으로 지정하기
8) 데이터 살펴보기
3. 구독자 끌어오기 위한 방법
- 스티비 활용하기: 구독 링크 생성, 페이지 생성, 발행한 레터 공유
- 홈페이지를 통한 구독 페이지 만들기 (notion 활용)
04_회고만이 살 길이다
1. 린하고 애자일하게 콘텐츠 만드는 법
- 린하다: 불필요한 내용이 없고 최대한의 효율을 이끌어내는 구성!
- 위의 그림은 마지막 과정이 되어서야 구독자들이 목적을 알고 만족
- 아래의 그림은 처음부터 목적을 생각한 것. 가볍게 스케이트보드부터 만들어볼까? 하나씩 기능 추가하는 것
- 아래의 그림 특징: 한 과정마다 사람들의 피드백 반영, 롤백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음
- 처음부터 뉴닉이 되겠어! 어피티처럼 만들거야! 한다면 바퀴부터 만드는 셈이 될 수 있음
- 애자일(Agile)한: 날렵한, 민첩한 -> 최소 기능의 제품(주목적만 달성)만을 구현하여 시간을 단축시킴
2. 성장하는 콘텐츠
- 지속, 개선, 포기할 것을 체크하기
- AAR, KPT를 동시에 진행하면 크게 성장할 수 있다!
- 독자의 피드백이 반드시 필요함: 뉴스레터가 성장할 때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정보
3. 구독자 피드백 설문조사 TIP
1) 설문의 목적을 확실히 한다.
2) 한 질문에는 하나의 질문만 물어본다.
3) 개인정보를 묻는 질문(데모그래픽 파악용)은 가장 아래로 배치한다.
4) 질문은 짧짧익선, 적적익선, 질문이 5개 이상 되면 이탈율이 높아진다.
5) 설문조사의 한계를 인정하고 유저 인터뷰와 병행한다.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정수에 집중해라!
뉴스레터에 기획하기에 앞서 반드시 답변해야하는 4가지 질문을 스스로 할 수 있다면
매체에 상관없이 스스로의 이야기를 담은 콘텐츠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강의가 한참 밀렸지만 이번주는 뉴스레터를 제작하는 주라서 미리 후딱 뉴스레터 부분만 수강했다. 이번 조별과제를 하기 전에는 제대로 구독하고 있던 뉴스레터도 없었고, 뉴스레터에 대한 지식도 전무해서 막막했는데, 아직도 막막하다 ㅎㅎ 정말 제로베이스인 내가... 어떻게 해서든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니까..! 결과물이 어떻게 나올지 나 스스로도 기대가 된다 ㅎㅎ 위에서 강사님이 언급하신 '뉴스레터를 제작할 때 가장 중요한 4가지' 누구에게, 무슨 말을, 어떻게 할건지, 무엇을 기준으로 잘했다고 판단할 건지를 먼저 고민해봐야겠다.
* 위 스터디노트는 제로베이스 스쿨 과정의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
'zero-base > 스터디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터디 노트 19_상세페이지 (1) 상세 페이지 기획 프로세스 (0) | 2023.04.24 |
---|---|
스터디 노트 18_광고 디자인(4) 프로모션디자인_KEY VISUAL 기초 (0) | 2023.04.19 |
스터디 노트 16_광고 디자인(3) 프로모션디자인을 위한 타이틀디자인(2) (1) | 2023.04.16 |
제로베이스 콘텐츠 마케팅 스쿨 스터디 노트 15_광고 디자인(2) (1) | 2023.04.03 |
제로베이스 콘텐츠 마케팅 스쿨 스터디 노트 14_광고 디자인(1) + 디자인시 유용한 사이트 (0) | 2023.03.23 |